펜데믹 이후 과도기적 한 해…
“2022년 국내 경제성장률 3.2% 전망… 민간소비∙수출 중심”
“내년 산업기상도, 정유∙이차전지 ‘맑음’ vs 조선∙가전∙철강 ‘흐림’”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출처: 코트라 홈페이지)
내년 우리나라 13대 주력산업 수출이 세계 수요 회복과 수출단가 상승으로 전년의 증가세를 이어나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다만 기저효과와 동남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 델타변이 확산, 반도체 수급 불균형, 중국 경기 둔화 등의 제약 요인으로 증가폭은 전년(25.6%) 대비 크게 둔화한 3.4%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산업연구원은 24일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내년 국내외 수요는 일정 부분 회복되지만 대내외경쟁 여건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 2022년 산업 전망 기상도 (자료: 산업연구원)
우선 석유제품의 수요확대와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급등으로 인한 대체수요 확대 지속으로 정유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5.3%의 높은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차전지는 주요 수출국인 미국의 수요 확대와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수주 증가, 주요국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대, 의료기기 수출 증가로 바이오헬스는 전년대비 6.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자동차는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와 고급 브랜드 차량 등 수출단가 상승에 따라 6.2%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습니다.
반면 조선 수출물량은 코로나19로 인한 2020년 수주절벽 영향으로 전년대비 13.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가전은 주요 수출국의 경기는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코로나19 특수 종료와 국내업체의 해외 생산공장 정상화에 따른 국내 생산물량 감소로 6.8%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철강은 글로벌 수요 증가와 기저효과로 수출물량은 4.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출단가 조정으로 수출액은 5.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세계 수요회복과 수출단가 상승으로 성장세가 지속되지만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3.4%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내수는 자동차 조성 등 수송기기와 가전, 디스플레이 등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의 내수는 전년에 이어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일반기계는 수요산업 설비 확대로 6.3% 증가가 예상되지만 자동차와 조선은 수요 부족과 발주 감소로 각각 1.0%, 35.4%의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소재산업군은 전방산업의 견조한 성장세에 힘입어 증가세가 전망되지만 전년 내수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폭은 미미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IT산업군은 가전(-2.5%), 디스플레이(-2.0%)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기기(4.1%), 반도체(5.6%), 이차전지(19.0%)가 내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수입은 조선, 철강, 석유화학,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단가하락과 전년 큰 폭의 수입 증가(22.1%)에 따른 기저효과로 2.8% 소폭 증가를 전망했습니다. 조선은 해외 인도량 및 기자재 수입이 감소하지만, 자동차와 일반기계 수입이 늘어 기계산업군 전체로는 3.6% 증가를 예상했습니다.
소재산업군은 수입단가 조정과 전년 큰 폭의 수입액 증가(39.7%)로 인한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 대비 1.2% 소폭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가전과 디스플레이 부진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이차전지 내수 확대가 IT산업군 수입 증가를 견인해 전년 대비 4.0% 증가를 전망했습니다.
생산은 코로나19로 건조물량이 감소한 조선산업과 해외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가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수출과 내수 확대로 생산 증가세를 예상했습니다. 자동차와 일반기계 생산은 수출 확대에 힘입어 증가가 예상되지만 조선은 2020년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수주절벽으로 큰 폭의 감소를 전망했습니다.
소재산업군은 내수와 수출의 안정적인 성장세로 대부분 증가할 것으로 봤고 IT산업군 가전 생산이 수출과 내수 위축으로 감소하지만 통신기기,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생산은 수요 확대에 힘입어 증가를 전망했습니다.
# 2022년 세계경제 전망
▷ 2022년 세계경제는 2021년보다 1.3%p 하락한 4.6%(PPP 환율 기준)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 글로벌 대전환이 진행되는 가운데, △대전환 비용 부담과 정부 예산 제약 △녹색 전환에 따른 민간에서의 병목·지체 현상 △국제협력 지체와 국내 정치과정의 지연 등이 세계경제 성장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
▷ 주요 선진국의 경기회복 흐름은 주요 리스크 요인에도 불구하고 2022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미국은 민간부문의 회복이 지속되겠으나, 애초 계획보다 축소 통과된 인프라투자 법안 규모, 중간선거 등 정치일정에 따른 정책 지연 및 축소, 연준의 테이퍼링 및 금리인상 우려 등 하방요인으로 연간 3.8% 성장하는 데 그칠 전망
– 유로 지역과 영국은 봉쇄조치 완화와 친환경 및 디지털 전환에 따른 투자 증가, 민간부문의 자생력 회복으로 각각 2022년 연간 4.6%와 5.3%의 성장률을 보일 전망
– 일본은 IT 업종의 투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ESG 등 신성장 산업 관련 투자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2년 중 3.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주요 신흥국에서도 완만한 경기회복이 이루어지겠으나, 2021년 하반기부터 나타나고 있는 델타 변이의 재확산세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지가 2022년 성장세를 결정지을 전망
– 중국은 산업규제로 인한 민간부문 위축, 전력난으로 인한 생산 부진, 부동산 기업의 잠재적 디폴트 리스크, 미·중 갈등 재점화 등 경기 하방요인이 있으나, 안정된 경기 정상화를 이루면서 2022년 5.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인도는 백신 접종인구 확대, 글로벌 경기회복 등의 영향을 받아 2022년 7.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아세안 5개국은 2021년 하반기부터 나타난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이 2022년 상반기까지도 이어진 후 서서히 경기회복이 이루어지면서 2022년 연간 5.2% 성장할 전망
– 러시아는 민간 소비와 투자의 빠른 회복 및 견조한 유가 흐름, 환율 안정 등의 긍정적 요인으로 2.9%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 브라질은 물가 불안에 따른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금리 인상과 대선을 앞둔 불확실한 정치 상황 등으로 2022년 1.5%의 성장률에 그칠 것으로 판단
[ 자료=대외경제정책연구원 ]
/ 예작기획